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5tigerjelly
Created June 1, 2019 21:36
Show Gist options
  • Save 5tigerjelly/d7202f4dcbe519c89057382a783de436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Save 5tigerjelly/d7202f4dcbe519c89057382a783de436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군휴학과 복학 사이
이글은 미국 유학생인 필자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타 국가의 유학생은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남성이라면 가야하는 군대, 과연 유학생들은 어떻게 군대를 준비하면 좋을까? 오늘은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유학생들에게 경험과 조언을 전하려고한다.
크게 군대를 갈 수 있는 시기는 대학 입학 전, 재학 중, 그리고 졸업 후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대학 입학 전과 졸업 후는 추천을 하지 않는다. 입학 전 같은 경우에는 이미 합격을 했다는 가정하에 대학교에서 최소 1학기에서 1년을 다녀 야지만 휴학을 허용해주는 경우가 많다. 졸업 후의 경우도 비슷하다. 졸업과 동시에 군대를 입대해버린다면, 전역 이후 OPT는 학생비자가 만료되어 사용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가장 현실적인 재학 중 입대에 대해서 알아보자. 필자의 주변 유학생들을 바탕으로 대부분은 1학년을 마치고, 소수는 2학년을 마치고 입대를 했다. 3학년을 마치고 입대를 한 유학생은 아직 만나본 적이 없다.
대부분 1학년을 마치고 가는 이유는 단순하다, 전공 수업과는 무관한 교양과목들을 배우면서 학점을 채우는 것이다. 2년 동안 군대를 다녀오게되면서 많은 것들을 잊게된다. 그렇기 때문에 군대가기전에는 핵심과목들은 피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1학년을 마치고 가면 복학시 입학 동기들이 4학년이 되어있어 새로운 무리의 학생들과 어울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년이라는 시간은 생각보다 빨리 지나간다.
그렇다면 복학에 대해서 알아보자. 실제 복학을 하기 앞서서 많은 학생들은 여권이 만료되었을 확률이 높다. 이유인즉슨, 대한민국 정부는 미필자에 대해서 여권을 기한을 5년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입학 직전에 여권을 만들었다면, 약 2년의 만료기간이 남았을 것이다. 학교 재학 중 여권이 만료된다면 여러모로 귀찮아진다. 여권을 재발급 받거나 가까운 영사관을 방문해 연장 신청을 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역이 6개월 남은 시점부터 전역 예정 증명서를 가지고 신규 여권을 신청하면 10년 기한의 여권을 받을 수 있게된다.
또 장기적으로 휴학을 하게되면서 학생 비자는 이미 만료가 되어있기 때문에 I-20부터 재발급을 받아야한다. 이 부분은 학교마다 다르기 때문에 학교의 국제학생부서에 연락을 할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또 팁은 만약 I-20와 F-1비자를 발급받은 경력이 있다면 한국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직접방문하지 않고도 우편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 참고를 바란다(https://www.ustraveldocs.com/kr_kr/kr-niv-interviewwaiver.asp).
이제 여권과 비자가 준비되었다면 절반이상은 준비가 완료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숙박이다. 이미 1년 이상 생활을 하면서 어느 동네가 좋은지는 안다는 가정하에 인터넷 상으로 집을 알아볼 수 있다. 가장 큰 단점은 1년을 숙박하게 될곳을 온라인으로 정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만약 전에 알던 친구가 아직 재학 중이라면 룸메이트로 들어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