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DhKimy
Created July 14, 2022 16:38
Show Gist options
  • Save DhKimy/38a0fe8c24fa80afd524db51720a1c8a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Save DhKimy/38a0fe8c24fa80afd524db51720a1c8a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성함(닉네임)

김동현2(라마스떼)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부동산 거래에 관심이 많고 블록체인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가고 있는 멋사의 훈련생입니다.
이번 첫 아이디어톤을 통해 구현해보고 싶은 것은 '부동산 임대차 전자계약 시스템'입니다.

어떤 가성비의 집을 맞이했을 때, 우리는 계약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처음이든 여러 번 진행을 하든 낯설고 생소한 것들이 많습니다.
등기부등본은 뭐고, 토지대장은 뭐고, 건축물대장은 뭐며...
계약서에 도장 한 번 잘못 찍으면 큰일 난다던데....

여차 저차 해서 우리는 계약을 하게 됩니다.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60만 원. 2년 계약. 풀옵션.
정말 계약을 잘한 건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중개수수료 30만 원까지 추가로 내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저기 내야 할 돈도 많고, 계약 사항에서 내가 고려해야 할 것도 많습니다.
심지어 여기에 전세대출까지 받는다고 하면 보름 정도는 정신이 없습니다.

무엇이 무엇인지 엄마, 아빠처럼 제대로 알려주는 이해관계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생각했습니다.

전자계약을 통한 임대차 계약, 그 과정 속에서 건물의 융자와 권리분석을 통해 안전한 건물인지를 알려주고,
신경 써야 하는 특약사항이 무엇인지, 독소조항은 없는 지를 상세하게 알려주는 기능을 구현해보고자 합니다.

아이디어 보시고 함께 만들고 싶으신 분은 디스코드 잡담방에서 '김동현2'를 멘션해 주세요!

아이디어명

'리스 헬퍼'(전자계약)

아이디어 설명

"이 리스 헬퍼는 무료로 집을 중개합니다."
"리스 헬퍼에는 단 둘 만이 존재합니다. 임차인과 임대인"

당근마켓과 같은 직거래 매물을 보고 임차인, 임대인이 연결됩니다.

모두사인과 같은 전자계약 API와 법원등기소 Open API를 활용하여 부동산 정보를 불러오고 계약과 관련된 기능을 불러옵니다.
표준 임대차 계약서의 형식 중 부동산의 표시는 불러온 부동산 정보를 토대로 자동으로 입력합니다.
(이때, 임차인에게만 건물에 대한 융자 등 권리 분석에 대한 결과 보고서를 전송합니다.)

계약내용(보증금, 계약금, 월세 등)은 직거래 매물에 표시된 내용을 적용합니다.
특약사항은 임차인, 임대인 상호 간 원하는 것을 각각 고르게 합니다(체크박스형).

ex)
옵션 :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애완동물 사육금지
임차인 귀책사유로 인한 가구 망실은 계약 종료 시 원상복구
관리비는 10만 원임.
임대인은 전세대출 불가 시 계약금 반환의무 있음.

임차인 입장에서 쓴 계약서와 임대인 입장에서 쓴 계약서를 두고, 상호 간 협의하여 merge 합니다.
전자서명을 하고 전자계약을 완료한 다음, 임차인이 계약금을 입금하면, 전자문서를 각자의 전자기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보냅니다.

아래는 실제 구현할 기능에 대한 시스템 구조 이미지입니다.

링크 : https://github.com/DhKimy/leaseHelper.git
(pdf를 다운 받아보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