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Yoodahun
Last active May 19, 2021 14:22
Show Gist options
  • Save Yoodahun/da1970d886e7b803ff99936e1ca88944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Save Yoodahun/da1970d886e7b803ff99936e1ca88944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성함(닉네임)

유다훈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일본에서 QA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는 유다훈이라고 합니다. 🤗

암호자산 관련 서비스에서 근무중인데, 간혹 Technical background에서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이번기회에 직접 Smart contract를 포함한 블록체인 앱을 구현해봄으로 좀 더 깊게 이해를 하는 기회가 되고, 더 나아가 커리어 성장에 발판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제가 도움드릴 수 있는 부분이라면 도와드릴께요! 언제든지 슬랙에서 @유다훈 으로 mention주시거나 DM주세요! 🥰 🙌🏻

아이디어명

BB-card (Business / Blockchain card) 💳

아이디어 설명

네트워크 상에 이력이 남고, 다른 사람들에게 줄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여, 블록체인을 이용한 명함보관 및 전달 서비스를 생각해보았습니다.

명함을 텍스트와 그림을 사용해서 만들던, 혹은 사진을 이용해서 업로드하건 하여 네트워크 상에 등록을 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블록체인 상으로 명함을 주고받습니다. 이직을 할 시에는 명함을 업데이트하고, 기존에 명함을 보냈던 이력을 확인하여 자신의 인맥들에게 이직했다는 소식을 알리고 다시금 명함을 보내는 그러한 서비스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직이 발생하면 저절로 커리어의 흐름이 네트워크 상에서 기록될 것 입니다. 또한 자신의 address에서 send한 이력을 기반으로, 계속하여 인맥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도 좋다고 생각하였습니다.

@jack-kjlee
Copy link

jack-kjlee commented May 17, 2021

유다훈님 안녕하세요. 리뷰어 #1 이경준이라고 합니다.
우선 좋은 아이디어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안해주신 아이디어를 저는 리멤버 (https://rememberapp.co.kr/) 와 같은 서비스를 klaytn 네트워크 위에서 구현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카카오톡이 국민 메신저이고, 그러한 기업의 지원을 받는 klaytn 네트워크 위에서 경력을 관리할 수 있는 명함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파급력이 클 것이라고 생각되어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직이 발생하면 저절로 커리어의 흐름이 네트워크 상에서 기록될 것 입니다."라는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하지 않는 서비스들(ex. 리멤버)도 이러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실 수 있을까요?
(우선은 사용자가 직접 경력을 update하면 모두에게 공유되는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이것과 관련하여서 blockchain network의 경우 transaction에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는 fee를 필요로하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경력을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 fee를 지불해야한다는 점에서 fee가 필요하지 않은 기존의 서비스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소중한 아이디어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하고,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추가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면 성장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jschoi126
Copy link

다훈님 안녕하세요,
저는 4년차 개발자인 최준성이라고 합니다.
회사에서 주로 검색시스템 개발을 하고 있고, 백엔드 개발과 약간의 프론트 개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다훈님 리뷰어로 지정이 되어서 올려주신 명함 거래 서비스 아이디어 살펴보고 몇가지 피드백 남깁니다. :)

분산 원장에 명함 거래 이력을 관리하는 서비스라니 신선하네요~ ^^
아이디어 설명을 살펴보니, 우선 명함 관련 유망한 스타트업인 '리멤버'가 떠올랐습니다.
https://rememberapp.co.kr/home
리멤버의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한 명함정보를 중앙 서버에서 저장하고 있고, 이를 전자 프로필 형태로 서로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요새는 명함 데이터를 통해서 커리어 관리 플랫폼으로 포지셔닝을 하고 있는 것 같네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명함 정보를 업로드 했을 때, 사용자들이 얻을 수 있는 차별적인 이점과 이 서비스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술적으로는 공용 네트워크에 개인정보가 저장된다는 부분에서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실제 서비스 연동 시에 인가되지 않은 타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련의 사용자 인증 로직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실제 서비스 구현하면서 필요한 기술적인 부분들을 멋사 스터디 진행하면서 익히고,
해커톤때 좋은 팀원 분들을 만나서 해커톤을 통해서 프로토타입을 구현해보면 멋진 서비스가 될 것 같습니다. :)

@Yoodahun
Copy link
Author

@jack-kjlee 이경준님 안녕하세요!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직이 발생하면 저절로 커리어의 흐름이 네트워크 상에서 기록될 것 입니다."

네. 특정 어드레스에서 새롭게 토큰을 생성하면, 생성된 이력이 블록체인 상에 이력이 남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드레스에서 생성된 이력들을 모아, 커리어를 관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이직 후에 새로운 명함토큰을 만든다면, 자신의 address에서 이전 토큰이 어떤 address로 전파되었는지에 대한 이력을 알 수 있기에, 해당 이력을 이용하여 기존의 인맥?들에게 다시 재전파도 쉽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fee에 관련해서도 고민을 좀 해보았긴했지만, 일단 fee와는 상관 없이 생각해보았습니다. 진짜 혹시나 서비스화한다면, network fee를 상쇄시킬 수 있을만한 Business Model을 고민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oodahun
Copy link
Author

@jschoi126 최준성님 안녕하세요!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연락처나 메일주소와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 있을 것 같네요~! 때문에 기재후에 실제 블록체인에 올려 전파할 때에는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명함토큰을 받은 사람은, 자신의 프라이빗키를 이용해서 서명을 하면 명함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면 좋을 것 같긴한데요, 일단 거기까지 구현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네요 😅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injeaLee
Copy link

엄청 흥미로운 아이디어인 것 같아요!! 저도 그런 아이디어를 현실화해보고 싶을 정도로요!!
하지만 제가 감히 이런 소리를 하는 게 버릇없어 보이긴 하지만 저희 나라에서 명함을 주고받는 문화가 사라질 것 인가에 대해 조금 의문이에요....
그렇지만 이 서비스가 현실화 되고 해외에서도 서비스를 하게된다면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방법이 생길 것 같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아무것도 모르는 제가 comment를 보았는데 기술적인 얘기를 주고 받으시는 모습 엄청 멋있네요....ㅎ 😀)

@Yoodahun
Copy link
Author

@MinjeaLee 님 안녕하세요!
코멘트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우리나라가 명함문화가 그다지 활성화되어있진 않을 순 있지만, 의외로 해외에서 business card에 대해 주고받는 문화가 활발한 나라들도 있습니다.
일본도 마찬가지이구요 :) 블록체인은 국가에 존속되지 않는 기술이니까요, 말씀하신대로 해외에서도 쓰인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기술적인 얘기는 별로 하지도 않았는데요 ㅋㅋㅋ 저도 이제 막 공부하는 참이라 잘 모릅니다. 서로 강의종료까지 힘내봐요!

@Eomhyunjun
Copy link

Eomhyunjun commented May 18, 2021

안녕하세요 다훈님! 저와 비슷한 아이디어를 생각하셨다고 하셔서 궁금증을 안고 왔습니다! 코멘트들을 읽어보니 fee에 대한 걱정이 있으신 것 같네요! 실제 명함을 뽑고 보관하는 비용을 생각했을 때 명함서비스를 이용한 기회비용이 훨씬 커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클레이튼에서의 네트워크fee를 생각했을 때요!)

@jjung-ki
Copy link

안녕하세요 ㅎㅎ 제 아이디어에 댓글 남시셔서 저도! 남겨요!

궁금한게 있어요! 명함을 암호화해서 저장하는건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그리고 한번의 트랜잭션당 이용비용을 들게 하는건지 아니면 구독제로 하게되는지도 궁금하네요!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Yoodahun
Copy link
Author

@Eomhyunjun
네 그렇군요~! 확실히 explorer에서 보기에는 tx fee가 그렇게 크진 않아보이네요 :) 감사합니다.
https://scope.klaytn.com/

@Yoodahun
Copy link
Author

Yoodahun commented May 18, 2021

@jjung-ki

명함을 암호화해서 저장하는건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우리가 보통 암호자산으로서 이용할때, 블록에 기록되는 내용은 대부분 A가 B에게 얼마를 보냈다 가 됩니다.
그러한 거래이력은 충분히 노출되어도 문제없기도 합니다. 다만, 명함의 경우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해야하고, blockchain explorer로 이것을 확인할 수도 있기에, 보안을 위해서 블록에 실릴 내용을 한 번 암호화하는 것이 좋겠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

한번의 트랜잭션당 이용비용을 들게 하는건지 아니면 구독제로 하게되는지도 궁금하네요!

음 말씀하시는 구독제는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명함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낼때는, 블록체인 상에 전파가 발생하므로 명함을 한 명에게 건낼때마다 네트워크 수수료가 발생할 것 같은데요, 클레이튼 네트워크에서의 fee를 참고하자니 이용자에게 별도로 네트워크 수수료를 부과하지않고, 사업측에서 부담해도 충분할 것 같아요 :) (트랜잭션 당 이용비용을 사업에서 부담. 이용자는 부담하는 비용없음)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