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choiseoungho
Created January 9, 2019 16:35
Show Gist options
  • Save choiseoungho/3053ad4d1a5c6baa0e647bf548f4af0d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Save choiseoungho/3053ad4d1a5c6baa0e647bf548f4af0d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논문 작성시에 삽입되는 그림의 포맷이나 해상도가 매우 중요하다. 저널에서 특정 파일 형식으로 지정해두기도 하고, 고해상도 그림을 사용하지 않았다가 인쇄시에 뭉개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래서 논문 그림에는 해상도와 큰 상관없는 벡터 방식의 그림파일이 좋다.
대체로 논문에 삽입되는 그림은 대게 두가지다.
프레임워크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
실험 결과 (변수, 오차 등 )에 대한 그래프
프레워크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의 경우 PPT로 작성한다. PPT 슬라이드 쇼 크기와 폰트 사이즈를 각 저널에서 제시하는 사이즈로 세팅해 놓고 그림을 그린다. 이후 emf 파일로 저장 한 후, emf to eps converter를 사용해서 eps로 변환해서 논문에 삽입한다. 아니면 바로 pdf로 저장해서 삽입해도 되는데, font embedding 이슈가 발생 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그래프는 매트랩을 사용해서 eps로 바로 저장한다. 매트랩 그래프 작성은 꼭 코드화시켜서 사용해야 한다. 논문 작성시 코멘트나 재실험때문에 결과 그래프를 자주 다시 그리게 되는데, 일일이 매트랩 피겨 화면에서 편집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코드화하면서 공통적으로 그림 크기나 폰트 사이즈를 지정하는 코드를 작성해두면 추후 활용하기에도 용이하다.
벡터 형식의 그림파일 중 PDF 파일의 경우, font embedding 이슈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어도비 어크로뱃을 통해 폰트와 함께 저장하는 방식으로 해결 할 수 있다.
부득이하게 픽셀 방식의 그림파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널에서 요구하는 파일 포맷 및 해상도, dpi 등을 꼭 확인해야한다.
IEEE 저널의 경우 논문 작성 후에 그래픽스 분석 툴에서 꼭 삽입한 그림파일이 제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본다. 분석 툴을 통해 폰트 임베딩 문제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reference
[1] https://shryu8902.github.io/latex/latex-guide-1/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